강제집행을 하려면 우선 집행력을 갖춘 집행권원이 있어야 하는데 민사소송법에 규정된 집행권원 중 중요한 것 몇 가지를 보면 판결, 화해조서, 인낙조서, 조정조서, 확정된지급명령, 공정증서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.
다음은 위 집행권원에 집행문을 부여받고 송달증명, 확정증명 등을 부여받아야 합니다.
- - 집행문이란 그 채무명의에 기하여 강제집행을 할 수 있다는 증명서인 셈입니다.
- - 집행문을 부여받으려면, 판결은 소송기록이 있는 법원(항소심에 계류중이면 항소심법원)에, 화해·조정·인낙 조서는 해당법원, 공정증서는 공정증서를 작성한 공증인사무소에 집행권원을 첨부하여 집행문부여신청을 해야 합니다.
- - 법원에 제출할 집행문부여신청서 및 송달증명원,확정증명원에는 각 500원의 인지를 첩부하여야 하며, 공증인에 대하여 신청하는 때에는 2,000원의 수수료를 납부하여야 합니다.
- - 집행문부여신청, 송달증명, 확정증명원의 신청서는 각 법원 민원실에 비치되어 있습니다.
이 증명은 우편으로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위와 같은 서류 등이 구비되면 강제집행의 대상을 선택하여 강제집행신청을 해야 하는데, 그 대상이 부동산이나 채권, 기타재산권인 때에는 법원에, 유체동산인 경우에는 집행관에게 신청하여야 합니다.
출처
: 대법원
'민사집행 > ...민사집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사대금채권가압류,채권가압류,전세권설정등기,채불,재산명시,채권추심,재산조사,경매,회생파산,이의신청,소장,답변서,준비서면,고소장,재정신청 (0) | 2020.05.25 |
---|---|
전자신청,전자소송,소장법무사,답변서법무사,고소장법무사,서초법무사,송파법무사,남부법무사,북부법무사,공탁,경매,개인회생파산,변호사,행정사 (0) | 2020.05.16 |
재산명시,채불신청,채권압류,경매,강제집행법무사,서초동법무사김철중,대구법무사,광주법무사,부산법무사,공탁,고소장,체당금소송,사기죄,체불임금소 (0) | 2020.04.07 |
유체동산강제집행,경매법무사,공탁법무사,소송법무사김철중,서초구법무사김철중,송파구법무사,성북구법무사,양천구법무사,소장,답변서,준비서면 (0) | 2020.03.16 |
낙찰불허가결정 (0) | 2018.03.20 |